ETC330 크리스마스다 즐겨라 그리고 크리스마스다 어릴 적 보던 친구들은 더이상 없는 듯 하다. 두근거리며 기다리던 명화시리즈와 등교하지 않는 여유로움에서 새어 나오던 무미한 찬 공기의 맛과 향도 이제 없는 듯 하다. 없는 것들 대신 나머지 크게 늘어 난 것이 걱정과 불안과 두려움이라도 말이다. 지금은 다시 즐기고 월요일 충격을 대비하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물가가 요동치고 주가가 지옥으로 향한다. 세계의 큰 손들이 다시 찌든 삶을 쥐어 짜내기 시작하는 순간이 말이다. 무전유죄 그래 희망만은 빼앗지 못한다고 하잖은가. 2021. 12. 25. 코로나시대의 외주개발.. 오늘 경향에도 나온 이야기지만 코로나로 인하여 외주 파견은 매우 힘들어진 상태입니다. 기사는 미디어업계 이야기로 나오지만 개발쪽도 별다르지 않군요. 코로나 걸리면 일단 업체로 들어간 이상 뒤집어 쓰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제 파견은 불가능한 상황에 있습니다. https://news.nate.com/view/20211217n02263 상세한 내용은 기사로 확인 가능하고 외주개발 쪽도 다르지 않습니다. 아닌 회사도 있겠지만 거의 대부분 계약해지와 더 진상인 경우 이상한 비용청구 협박도 나옵니다. 코로나 시대의 외주개발은 파견은 역시 안되요. 2021. 12. 17. 올드보이의 뒤를 이를 한일콜라보는 '오니고로시'가 될 것이다. 물론 날 것으로는 어렵다. 올드보이마냥 재해석하고 분석되어야 빛을 발할 원석이기 때문이다. 다만...다만...나도 영화 만들고 싶었다..20대에는 말이지.. 복수..! 가족..! 잔인..! 폭력..! + 스피릿..? 나..어떤 감독이 떠오른다. 딱 맞는 것 같은데 표출된 폭력에 약할지도.. 잡설. 2021. 12. 17. 오늘은 말이다 오늘은 말이다. 오늘도 살게 해주어서 고맙다. 그리고 오늘도 살아서 미안하다. 오늘은 말이다. 먹을 것이 있어서 고맙다. 좋은 것을 먹이지 못해서 미안하다. 오늘은 말이다. 어디 좋은 곳에 가지 않아도 잘 놀아 고맙다. 어디 좋은 곳에 가지 못해서 미안하다. 내일은 말이다. 내일도 고맙다고 말해주고 싶구나. 그런데 내일은 정말 미안하다. 2021. 12. 9. 물가상승의 근본 원인은 노동가치의 하락이다. 코로나 덕분인가 비교적 티내지 않고 진행되던 금융권 자산가와 노동자의 간극은 더 가속화되었다. 노동의 가치는 떨어지고 노동포기자가 늘어났다. 유통 물류는 점차 줄어들었는데 자산가의 자산은 더 늘어만 간다. 코로나 탓이 아니라 원래 그랬던 것이 더 가속화된 것이다. 디스토피아를 그린 작품을 보면 소시민들의 식사는 사료에 준하는 영양성분의 무언가이고 여행이라는 것은 사치가 되는 내용들이 많다. 작금을 보라 비슷해지고 있지 않는가. 1000원을 벌어들인 회사가 200원만 노동자에게 주는 사회가 되었다. 이 조차도 줄이겠다고 기술을 등에 업고 설친다. 소비는 줄어들겠지만 필수품에 대한 수요는 못 줄인다. 더 큰 부자가 되겠다고 움직이는 꼴에 사람 취급도 못받던 소시민만 죽어난다. 결국 시대가 필요로 하는 것은 .. 2021. 11. 15. 노동의 미래를 생각하다 잡생각이 들었습니다. 노동의 변화에 말이죠. 미국도 국내도 인플레이션이 지속되지만 아무도 아직 스태...라고는 말 못합니다. 사실 일부 임금 상승률은 높긴 하거든요. 그러나 사회비용과 위험비용을 감안한 임금은 물가 상승 대비 실질적 하락이라고 보여집니다. 단순하기 돈으로 계산되지 않는 영역이 늘어났기 때문에 구인이 되지도 않죠. 해당 부분을 넘어서는 비용은 지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it쪽이나 금융등 비대면이 일상화된 영역의 경우 상승률에 대한 접근이 매우 무난한 편입니다. 대면업무 종사자의 경우 모두 이에 혜택이 전무하고 비대면 처리를 위한 솔류션 활용으로 해결하고자 변화를 모색중이죠. 결국 1차적으로 서비스 종사자의 구인난 -> 실물상품 판매 부진 -> 물가상승 -> 유통망 비용 증가 -> ???.. 2021. 10. 25.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