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데이터 셋이 먼저 수학적 접근을 하게 된다.
이미지에서 보면 수학적 기준에 가중치가 몰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터 셋 접근시 수학적 기준을 제시하면 해당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n차 기준을 제공하면 오염도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AI개발자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만 유료 모델에서는 추론 과정에서 가중치 키워드 기준이 여러번 확인 되는 듯 하니 그냥 심심풀이로 봐주면 좋겠음.
추론 모델이 증가하면 결국 이전에 적었던 내용과 같이 가상의 예상 답변을 병렬로 준비하는 과정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결국 다 때려 넣고 맞추기 시작하는 데, 이것은 생각보다 좋은 방법이다. 제한된 결론 도출에도 도움이 되고..
이번에 AI사업에 연관 될 것으로 예상되어 연구중..ㅎㅎㅎ
'I.Coin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할루시네이션 봇 (2) | 2024.09.17 |
---|---|
AI Actor 프로젝트 초안 (0) | 2024.08.10 |
비트 종말 시나리오 (0) | 2024.04.30 |
AI Renderer 구현 (0) | 2023.05.23 |
시계열DB와 생성형 AI의 미래 (0) | 2023.05.15 |